이 블로그의 첫 글을 보면 발행일이 2014년 7월 12일인데, 이게 딱 내가 개발자 커리어를 시작할 때다. 그러니까 이 블로그의 역사와 내 (개발자) 커리어가 함께 가고 있다는 거다. 물론 중간에 깃헙 페이지도 써보고 미디엄도 써보고 (지금까지도 가장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형태인) Ghost를 직접 설치하는 형태로도 운영해봤는데 결국 여기로 돌아오게 됐다....
최근 특정 비즈니스 영역에 대한 상태값에 대한 변수명을 정의하다가 더이상은 이걸 영어로 표현할 자신이 없다는 생각에 한글 변수를 사용하는 것을 좀 더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예를 들면 이런 것이다. 이해되는가? 영어 버전에 주석이라도 심지 않았다면 후일 저 코드를 유지보수해야하는 누군가가 날 찾아와 멱살잡이를 하게 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앞서서 작성한 [WIP] SwiftUI-Navigation 글을 작성하기 위해서 해당 라이브러리를 좀 들여다보고 있었는데, 이 라이브러리가 갖는 의존성 중 하나인 CasePath에 대해서 이해하기 전에는 제대로 이해하기가 어려울 것 같아서 결국 CasePath 구현을 좀 들여다보게 되었다. 참고로 두 라이브러리 모두 pointfreeco에서 만들었다. Ca...
모바일 앱 개발자 입장에서 GraphQL 을 사용하기 위한 선택지라고 하면 끽해야 apollo 정도인데, 특정 apollo CLI 버전에서 graphql 모듈 중 KnowArgumentNamesRule을 찾을수 없다는 오류가 발생했다. 현재 프로젝트에서는 node module을 전역 설치해서 쓰고 있어 걍 graphql 모듈을 전역 설치해서 해결했는데, 이...
회사 FE 개발자 한 분의 제안으로 짧은 페어 프로그래밍 세션을 진행했는데, 처음 해보는 거라서 꽤 긴장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정말 재미있게 잘 했다. 그리고 페어 프로그래밍을 왜 하는가? 에 대한 나름의 힌트도 얻게 되었달까... 다만 세션을 진행한 개발자가 페어 프로그래밍을 많이 해봤기 때문에 어떤식으로 진행할지에 대해서 나름 포맷팅을 해서 함께 했기 때문...
SwiftUI 좋긴 한데 NavigationLink만큼은 음 이건 좀...싶은 느낌이 꽤 강했다. 근데 이게 나만 그런게 아니었나봐? Composable Architecture로 화제를 끌어모은 pointfreeco에서 swiftui-navigation을 내놓았네. 이거 한번 체크할 필요 있어보임.
맨날 써야지 써야지 하다가 뭘 쓰기로 했는지 까먹는 개발 포스팅 주제들...이제는 정말 두고볼 수 없다! 의 마음이 차오른 그때 스포티파이에서 아주 적절한 꺼리를 던져주었다. At Spotify, we constantly work on creating the best developer experience possible for our iOS engineer...
Combine을 사용하는 코드의 테스트를 위해 잠깐 찾아보다가 결국 이거밖에 없나? 싶어서 잠깐 메모해둔다. 하긴 근데 비동기 코드의 테스트라는 게 얼마간 대기 > 응답을 받으면 검증 말고 또 뭐 없긴 하지... 대충 이런 흐름인데, 만약 이게 단건에 대한 응답이 아닌 Sequence 형태의 응답을 검증하는 거면 좀 다르게 접근해야 하겠지. 뭐 그렇게...
어떤 함정에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어려운 것이 아니라 함정에 빠졌다는 사실 자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어려운 것이다. 그들이 이런 문제를 다루는 방식은 자동차 운행과 관련된 로그 기록을 최대한 확보하도록 만들고, 자동차에 새 엔진을 달아서 내보낸다. 다음에 비슷한 일이 또 발생하면 그때는 필요한 정보를 볼 수 있으리라고 기대하는 것이다. 이거는 이 책의 프...
지난 추석 무렵에 iOS 15가 정식 출시됐다. 온갖 이것저것 강력하고 새로워진 기능이 더해진 가운데(그리고 더 둥그러진 모서리), 일부 제한된 환경의 iOS 개발자가 알고 있으면 좋을 변화가 하나 더 있다. 바로 iOS 15부터는 앱 서명에 Entitlements를 포함시킬 때 DER 방식으로 서명하는 더 안전한 새로운 서명 형식을 사용하게 되었다는 것이...
1. Bundler Bundler는 Fastlane이나 CocoaPods과 같은 Ruby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의존성 관리를 위한 툴이다. 프로젝트 루트 경로에 Gemfile이라는 이름의 파일을 아래와 같이 만들고 bundle install을 수행하면 Gemfile에 서술한 해당 루트 경로에서 bundle exec 로 시작해 설치한 Ruby 애플리케이션의 명...
(서론 없이 사용법만 알고 싶다면 스크롤을 내려 "사용하기" 부터 읽어도 됩니다) iOS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외부 라이브러리 등에 대한 의존성 관리 도구로 보통 CocoaPods, Carthage, Swift Package Manager(이하 SPM) 인데,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건 아무래도 CocoaPods일 것이다. 많은 라이브러리가 Carth...
GAE BAL JAA
자유로운 창작이 가능한 기본 포스트
한 컷씩 넘겨보는 카툰 포스트
직접 만든 영상을 올리는 동영상 포스트
소장본, 굿즈 등 실물 상품을 판매하는 스토어
멤버십에 가입하시겠습니까?
설정한 기간의 데이터를 파일로 다운로드합니다. 보고서 파일 생성에는 최대 3분이 소요됩니다.
포인트 자동 충전을 해지합니다. 해지하지 않고도 ‘자동 충전 설정 변경하기' 버튼을 눌러 포인트 자동 충전 설정을 변경할 수 있어요. 설정을 변경하고 편리한 자동 충전을 계속 이용해보세요.
중복으로 선택할 수 있어요.